초 고령화 사회 인구 데드 크로스로 대한민국의 인구는 3세대 이후에 소멸된다고 뉴스에서 본 적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2023년 달라진 출산 정책에 대해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어떤 변화가 생겼는지 참고 하시고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임신 바우처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
2021년 60만원 지원
(지원금 확대)
2022년 1월1일 생부터는 단태아 100만 원 다태아 140만 원의 의료비 지원
기존 60만원 임신 출산 지원비가 22년부터는 단태아 기준 100만 원으로 40만 원 가까지 지원금이 확대되었습니다
양육지원금 (아동수당)
(기존) 만7세 미만 -> 만8세로 확대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연령이 1년 더 확대가 되었습니다.(기존 7세미만 아동에서 만 8세)
2022년 1월 1일부터 만 8세 미만(95개월)
모든 아동들에게 매월 10만 원이 지급이 됩니다.
아동수당은 매달 25일에 현금지급됩니다.
양육지원금 (영아 수당)
2022년 1월생부터 가정보육을 하는 아동에게
0~23개월(만 1세) 월 30만 원 지급이 되고
24~86개월 월 10만 원씩 지급이 됩니다.
2023년 부모 급여(하반기 세부 발표 예정)
부모 수당의 금액은 아래의 표와 같습니다
▽▼▽▼▽▼
2023년 | 2024년 | |
0~11개월 (만 0세) | 월 70만원 | 월 100만원 |
12~23개월 (만1세) | 월 35만원 | 월 70만원 |
정리하면
23년 12월까지는 월 70만 원
24년 1,2월은 월 100만 원
24년 3월부터 25년 2월까지는 월 70만 원
이렇게 받을 수 있습니다
2023년 국가 지원금 정리 (경기도 용인)
2022년 경기도(용인) 출산지원금
각 지자체마다 지원금이 상이하기 때문에 확인을 요합니다
기본적으로 용인시 기준 출산지원금이 30만 원이 나옵니다.
첫째:30만 원 둘째:50만 원 셋째:100만 원 넷째:200만 원 다섯째 이상:300만 원
자격조건: 180일 이상 용인시 거주
출생아가 같은 세대로 주민등록이 나올 경우 가능합니다
출생일로부터 1년 이내 주민센터에서 신고 시
익월 25일 날에 계좌로 입금됩니다.
2. 경기도 산후조리비지원
지원대상 : 경기도 거주 출산 가정
지원내용 : 출생아당 50만 원 (지역화폐)
주민센터나 민원 24에서 온라인으로도 신청 가능합니다
와이 페이로도 산후조리원 결제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지역화폐를 잘 활용하면 큰 도움이 됩니다
'재태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사임당 채널 매각 얼마에? (0) | 2022.07.29 |
---|---|
2023년 최저임금 실수령액, 월급, 연봉 계산법 (0) | 2022.07.26 |
서울 청년 교통비 지원 사이트 (연간 10만원) (0) | 2022.07.20 |
[원달러 1300원 시대] 소중한 자산을 지키는 방법 (0) | 2022.06.23 |
누리호가 가져다 주는 경제 효과는? (0) | 2022.06.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