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직장인이 월급을 모아 몇 년 후에 집을 살 수 있을까?
부모님 세대엔 월급을 모아 살 수 있는 집을 MZ 세대인 우리는 월급만으로 집을 살 수 있을까?
결론은 NO!
그 이유를 이야기 해 보려고 합니다.
PIR [price to income ratio]
주택 가격 / 연소득

PIR이란?
가구소득 대비 주택 가격 비율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PRI이 10이라면 10년 동안 소비 없이 모은 돈으로 집 한 채를 살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수치가 높다면 더 오랜 기간 돈을 모아야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연 소득이 3000만 원인데 집값이 3억이면 PIR은 10, 집값이 6억이면 PIR은 20이 되는 의미입니다.
(2020년도 전국 PIR은 5.5 수도권으 8.0= 월급을 그대로 모으면 5년 5개월, 8년 만에 집을 매매 가능)
서울이 뉴욕의 2배?

서울은 24.6 웬만한 선진국보다 훨씬 높습니다.
평생 돈 한푼 안쓰고 24.6년을 벌어야 집을 살 수 있다는 이야기 입니다.
앞으론 이 격차가 더 벌어질 거 같습니다.
서울에 아파트 지을 땅은 한정적이고 공급은 제한이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일전에 뉴욕 집값이 200억이 넘는 초호화 아파트를 유튜브에서 본 적이 있었는데
평균치로 계산할 때는 서울이 뉴욕보다 PRI이 2.5배 높다는 사실에 놀랄 수밖에 없네요.
앞으로 PIR의 격차는 얼마나 더 벌어질까요?
자산의 양극화를 걱정해야 될 시기가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PIR 통계의 오류

월급을 한 번도 안 쓰고 모았다?
그 기준이 애매모호합니다.
실제로 월급을 한 번도 안 쓰고 10년 동안 돈을 모은 사람이 있을까?
그러다 보니 체감하는 현실과는 괴리감이 존재할 수밖에 없고 인플레이션 화폐 가치의 하락으로 인해
그 차이는 더 벌어진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PIR은 집값의 버블과 국가별 주택 가격을 비교하는데 중요한 지표라고 합니다.
‘연소득 대비 집값’ 서울은 12배, 뉴욕·런던보다 월등히 높다
PIR 서울 12.04배 vs. 뉴욕 5.4배, 런던 8.2배서울 중간소득 계층이 12.4년치 소득 한푼도 안쓰고모아야 중간가격 주택 매입 가능2016년말 10배 넘어선 뒤 2018년 12배로 상승집값 거품 커질수록 그 후유증
www.hani.co.kr
문 정부 이전 PIR은 16년에서 문 정부 이후 26.5년으로 증가 서울 집값만 70% 급등
'재태크 > 부동산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 집값 폭락 한국 부동산도 떨어질까? (월부 요약) (0) | 2022.07.26 |
---|---|
광주 아이파크 예상 손실액 총 정리 (0) | 2022.01.17 |
'솔로지옥' 유튜버 프리지아 재산&수익&집 가격 (0) | 2022.01.12 |
부동산 적폐는 누군가요? (0) | 2022.01.09 |
청라 경서 푸르지오 얼마나 벌 수 있을까? (0) | 2021.09.15 |
댓글